마침내 5대 高峰에 오르다(계방산)
2010.02.16 12:25
마침내 5대 高峰에 오르다
태어난 곳이 시골(여주)이라 어릴 적부터 산(비록 마을 뒷동산이긴 하지만)에 올라가 논 때가 많았고 중고등학교 다닐 때도 부모님 따라 산에 간 적이 있긴 하지만, 내 자유의지로 땀흘려 가며 힘들여 큰 산에 오른 것은 대학교 1학년 때인 1974년 여름 덕유산 향적봉(1,614m)이 처음 아니었나 싶다.
그 후 사법연수생 시절인 1979년 여름에 설악산 대청봉(1,708m)을 올랐고, 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 시절인 1983년 가을 한라산 백록담(1,950m)을 정복한 후, 1997년 여름에 지리산 천왕봉(1,915m)에 足跡을 남겼다. 그로부터 다시 8년이 지난 2005년 2월 드디어 계방산(1,577m) 등정을 함으로써 31년 만에 남한의 5대 高峰을 다 오르게 되었다.
계방산(桂芳山)
평소 산을 좋아하는 사람들조차도 대개는 “그게 어디 있는 산이지?” 하며 묻는 산이다. 남한에서 다섯번째로 높은 산이건만 그런 대접을 받는 이유는 국립공원도 도립공원도 아닌 평범한 산인 까닭인지 모른다. 더구나 등산길에 기암괴석이 늘어선 岩陵이 있는 것도 아니고, 이름난 古刹이 있는 것도 아니니 世人의 관심을 못 끄는 것이 아닐는지...
2005. 2. 27.
새벽 5시 30분에 일어나 서둘러 畏友 이병찬 상무(신한생명) 집으로 갔다. 작년 4월에 오대산 상원사에서 같이 一泊하고 계방산 등정에 나섰다가 불조심 기간에 걸려 등반이 금지되는 바람에 미수에 그쳤던 기억을 떠올리며 그가 운전하는 차에 올라 서울(문정동)을 출발한 것이 오전 6시 45분.
대동강 물도 녹는다는 雨水가 지났지만 아직은 겨울이라고 하여야 할 계절 탓일까, 휴일임에도 불구하고 이른 아침의 고속도로는 중부나 영동이나 모두 뻥 뚫려 있다. 민족사관고등학교 앞의 소사휴게소에 들러 따끈한 우동으로 아침식사를 한 후, 속사인터체인지에서 영동고속도로를 벗어나자 이내 계방산(운두령)으로 가는 31번 국도 도로표지판이 나타난다.
이제는 찾는 이가 거의 없는 듯한 이승복기념관이 눈 속에 덮여 있는 것을 보며 길을 재촉하자 곧 노동리(평창군 용평면)의 아랫삼거리가 보인다. 운두령 고갯길이 시작되는 곳이자 계방산 산행의 종착지(운두령 정상에서 출발하는 경우) 혹은 출발지(逆코스를 택하여 이곳에서 출발하는 사람들도 간혹 있다)가 되는 곳이다. 때문에 주위에는 음식점과 숙박시설, 주차장 등이 정비되어 있다.
구름도 쉬어 넘는 고개, 해동청 보라매도 쉬어 넘는 고개 운두령은 정상이 해발 1,089m이다. 한 때 제주도를 제외한 남한에서 차로 넘는 고개 중 가장 높았던 곳이다(현재는 해발 1,330m의 만항재, 1,268m의 두문동재 등 더 높은 곳들이 있다).
고갯마루에 도착하여 시계를 보니 오전 8시 50분. 서울에서 2시간 남짓 걸린 셈이다. 등산객들을 위하여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주차장에는 벌써 차들이 10여 대 주차되어 있다. 일찍 일어난 새가 모이를 먹는다고 하던가, 잠시 후면 차를 댈 곳이 없어지리라.
배낭을 정비하고, 아이젠을 착용하고, 등산안내도로 지형을 익히고 첫발을 내디딘 게 9시 10분이다.
등산로의 처음에 나오는 나무계단이 가파르긴 하지만, 여기만 올라가면 길이 금방 평탄해진다. 더구나 겨우 내 쌓인 눈으로 다져진 덕분에 푹신푹신하여 걷기도 좋다. 그 눈이 없다면 돌길을 걷느라 힘이 들텐데...
약간의 오르막내리막이 있지만 높은 산의 등산로치고는 山客들을 편하게 해주는 길을 따라 걷기 1시간, 첫 이정표를 만난다. 이제까지 온 거리가 2.0km이고 앞으로 정상까지 갈 길은 1.9km 남았단다. 그러면 총 3.9km라는 이야기인데....
이 이정표를 지나고 나면 이제까지와는 달리 길이 가팔라진다. 드디어 땀이 등을 적시기 시작한다.
1,492m봉에서는 계방산의 정상이 손에 잡힐 듯 보인다.
그런데 이 곳에 서 있는 이정표가 재미있다. 이제까지 온 거리 2.9km, 앞으로 갈 길 0.9km! 그렇다면 운두령부터 정상까지 총 3.8km라는 이야기인데, 아까 본 3.9km는 뭔가?
11시 20분, 계방산의 정상에 도착했다. 2시간 10분 걸린 셈이다. 추운 날씨에도 사람들이 붐빈다. 누구라 할 것도 없이 한 사람 한 사람 얹어 놓기 시작한 돌들이 쌓여 세워졌을 돌탑이 하나 세워져 있다. 다른 때와는 달리 거기에 돌을 하나 더 얹고 싶은 생각이 안 드는 것은 왜일까? 돌탑보다는 주위의 풍광에 시선을 빼앗겼기 때문이다. 몇 년을 두고 벼르고 벼른 끝에 올라 온 산인 까닭에 경치 하나하나가 새롭다.
북쪽으로 설악산의 峻峰들을 바라보다가 동쪽으로 눈을 돌리면, 오대산(1,563m)과 황병산(1,407m), 그리고 거기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삼양대관령목장의 고원지대가 한 눈에 들어온다. 이어서 발왕산(1,458m)의 용평스키장 레인보우코스가 눈길을 끈다. 다시 서쪽을 보면 흥정산(1,278m)의 보광피닉스 스키장도 보인다.
눈 덮인 산들이 연출하는 멋진 장관에 한동안 넋을 잃다가 문득 정신을 차려 서울에다 전화를 하니 집사람이 잠이 덜 깬 목소리로 ‘아니 벌써 올라갔냐’고 묻는다. 마땅히 같이 왔어야 할 ‘김조과’ 원장한테도 전화를 해 함께 못 온 아쉬움을 전했다.
평소에도 그렇지만 산에 가면 이상무의 꼼꼼함에 혀를 내두른다. 마나님이 미국에 가서 없는데도 배낭 속에서 꺼내 놓은 점심거리가 보통이 아니다.
점심을 포식한 후 12시 10분에 하산길로 접어들었다. 정상에서 남쪽 능선을 따라 곧장 아랫삼거리로 내려가면 5.2km이고, 동쪽으로 朱木群落地를 거쳐 윗삼거리로 내려가 아랫삼거리로 가면 5.7km라고 이정표에 나와 있다.
하지만 이 길이 보통 험한 게 아니다. 계속 능선만 따라 내려가는데, 오르막내리막의 경사가 가파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눈이 많아 발이 빠지는가 하면 중간중간의 양지바른 곳에는 반대로 눈이 녹아 여간 미끄러운 게 아니다. 잘은 몰라도 後者를 택하는 것이 걷기에는 편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아무래도 하산길이라 운두령에서 정상까지 올라갈 때보다 시간이 덜 걸려 오후 2시에 아랫삼거리에 도착하긴 했지만, 무릎의 통증이 제법 심하다. 엉덩이썰매를 탈 요량으로 무릎보호대를 하지 않아 더 그런 모양이다. 정작 엉덩이썰매는 타지도 못했다. 태백산과는 달리 이곳 하산길은 등산로가 좁거나, 경사가 너무 급하거나(아니면 아예 평평하다) 하여 엉덩이썰매를 타기에 적절하지가 않다.
무릎에 통증을 느끼면서도 다소 서둘러 하산한 이유는 오후 2시경에 아랫삼거리에서 운두령의 정상으로 가는 버스가 있다고 하기 때문이다.
인근의 가게에 들어가 물어보니 본래 2시 車이지만 30분 정도는 기다려야 할 거라고 한다. 그것도 꼭 온다는 보장은 없단다. 기가 막힐 노릇이지만 어찌하랴.
이 정도로 등산객이 많다면 겨울철 성수기만이라도 셔틀버스를 운행할 법한데, 지방자치단체의 머리와 손길이 거기까지는 미치지 못하는 모양이다. 아니면 손님이 없다면서도 시내에서만 빈둥거리는 그 많은 택시들은 다 뭐란 말인가.
이상무가 하이재킹이라도 해보려고 길에 서서 지나가는 차들을 향해 손을 들어보지만 야속하게도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하긴 나부터도 안 태워줄 거다. 누군 줄 알고 태워주나” 하면서 이상무가 미소를 짓는다. 언제부터인지 우리나라도 낯선 사람을 차에 태워 주기가 겁나는 세상이 된 것이다.
버스가 안 오면 어쩌나 하는 막연한 불안감 속에 30여 분을 기다리니 마침내 버스가 온다. 오, 하느님 감사합니다! 안내판을 보니 진부에서 홍천 가는 버스인데, 차 안에는 손님이 고작 3-4명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버스가 제대로 다닐 리 없다.
아침과는 달리 귀경길은 고속도로가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갔다. 갈 때 2시간 걸린 길이 올 때는 4시간 걸렸으니 말이다. (끝)
댓글 4
-
BeeHoney
2010.02.16 12:26
-
우민거사
2018.01.14 20:54
처음 계방산에 오른 후 13년이 지난 2018. 1. 7. 계방산을 다시 찾았다.
이번에는 작년에 에베레스트 트레킹을 함께 했던 도반들이 동행하였다.
무술년의 첫 주말이라 시산제를 하는 산악회가 많아 운두령에서 시작하는 등산로에서부터 인파로 길이 밀렸다.
계방산 정상은 명동 한복판만큼이나 붐볐다.
계방산 표지석을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으려면 줄을 서서 30분 정도 기다려야 했다.
하산길은 주목군락지를 거쳐 노동계곡을 따라 내려가는 코스를 택하였다.
정상에서 직하산한 첫 등정 때보다 돌아가는 여정이지만,
군락을 이룬 주목들을 볼 수 있고,
내리막길 경사도 덜 급한데다
눈이 많이 쌓여(등산객들이 적다 보니 운두령쪽보다 등산로에 눈이 많이 쌓였다)
눈구경도 실컷 하고, 무릎에 부담도 덜해 좋았다.
하산 후 진부에 가서 목욕을 하여 피로를 풀고(평창올림픽으로 인해 진부에도 사우나 시설을 갖춘 호텔이 들어섰다)
부일식당에서 저녁을 먹고 귀경했다.
저녁 7시 30분 경 출발했는데,
놀랍게도 2시간 여만에 서울에 도착했다.
요새 영동고속도로가 전과 달리 주말에도 정체가 심하지 않다.
이유가 무엇일까....?
-
우민거사
2022.01.23 23:22
2022. 1. 22. 계방산을 다시 찾았다. 2018. 1. 에 오른 후 4년만이다. 등산로 입구에 풍력발전기가 한 대 설치되어 있는 것 외에는 옛모습 그대로였다.
날씨가 포근해서 산행하기에 좋았으나, 대신 구름이 끼어 설악산을 비롯한 주위의 명산들을 바라볼 수 없는 게 아쉬웠다.
그리고 낮 12시는 되어서야 산행을 시작하는 바람에 안타깝게도 정상까지 못 가고 1,492m 봉우리에서 회군하여야 했다.
그렇기는 해도 갈 때마다,, 높은 산이면서도(남한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산) 설산 산행이 과히 힘들지 않아 또 찾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하는 산이다. 그래서 이번에도 다음에 다시 외서 완주하자고 도반들과 다짐하며 내려왔다.
하산 후 낙산사로 이동하여 하룻밤을 보냈다. 새벽에 동해바다 일출을 보려고 의상대와 홍련암 앞에서 추위에 떨었지만, 역시 구름이 짙게 끼어 아쉬운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그게 하늘의 뜻인 걸 어쩌랴.
비록 일출은 못 보았지만, 한겨울 산사의 운치를 만끽할 수 있어 좋았다.
생각하기에 따라 꿩 대신 닭일 수 도 있고, 봉황일 수도 있다.
-
우민거사
2023.01.17 16:20
지난 해 겨울에 이어 1년만인 2023. 1.7. 계방산을 다시 올랐다.
남한에서 다섯번째로 높은 산(1,577m)이면서도 어렵지 않게 겨울 설산등반의 묘미를 한껏 느낄 수 있는 산인 까닭에 겨울이 되면 늘 오르고 싶어지는 산이다.
서울을 출발할 때부터 시작하여 산행을 마칠 때까지 내내 흐리고 눈발이 날렸지만,
그게 오히려 운치를 자아내어 또다른 감흥을 주었다.
특히 활짝 핀 상고대를 이번 산행에서 최고로 감상할 수 있었음은 행운이라고 할 만하다.
추운 겨울 힘들여 직접 설산을 올라본 사람만이 맛볼 수 있는 즐거움이라고 할까.
그 사이 정상의 표지석이 바뀌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65 | 風雨는 섞어치고(백두산) | 범의거사 | 2010.02.16 | 9697 |
64 | 눈에 보이는 것 뒤에는...(낙산사) [1] | 범의거사 | 2010.02.16 | 12280 |
» | 마침내 5대 高峰에 오르다(계방산) [4] | 범의거사 | 2010.02.16 | 10818 |
62 | 아, 금강산(2) | 범의거사 | 2010.02.16 | 10665 |
61 | 아, 금강산(1) | 범의거사 | 2010.02.16 | 15456 |
60 | 빗속에 구름속에(상원사, 백담사, 오색온천) | 범의거사 | 2010.02.16 | 10184 |
59 | 貴陀庵의 南道記(강진,해남,보성,순천) | 貴陀道士 | 2010.02.16 | 6770 |
58 | 30년의 세월(덕유산2) [1] | 범의거사 | 2010.02.16 | 10581 |
57 | 貴陀庵의 화려한 외출(북한산의 봄) | 범의거사 | 2010.02.16 | 12466 |
56 | 자연과 인간(2)(예외4--하롱베이와 앙코르와트) | 범의거사 | 2010.02.16 | 10600 |
잘 읽고 카피해갑니다.
운두령은 나도 자동차 드라이빙을 하다가 넘어본 고개 같네.
차를 타고 넘지만 어떤 종류의 고개든지 길옆의 산하를 내려다보는 감회가 새롭고 아름답지.
작년 언젠가 정동진을 다녀오다가 백봉령을 차로 넘었는데
그곳도 운치가 있었네.
나도 범의거사만큼이나 산을 좋아하면 중간에 차 세우고 한번 등정을 해보련만 쉽게쉽게 다니기를 좋아하는지 꼭대기에는 잘 안가보게 되네.(여태 대청봉도 못가보았음^^, 그래도 백운대에는 아이들 데불고 딱 세 번 올라갔음).
산등정기를 재미있게 읽었네.
차 마시는 사람들은 배낭에 차 달이는 도구도 넣고 다니더군.
다음엔 김밥도 챙기고 다니게. 김가네 참치김밥이 맛있더구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