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楊朱)의 사철가

2010.02.16 14:24

범의거사 조회 수:15434


  주지하는 것처럼, 중국 역사에서 주(周)나라가 외적의 침입을 받아 수도를 호경(鎬京)에서 낙양(洛陽)으로 옮긴 BC 770년부터 춘추시대라고 부르고, 그 후 춘추오패(春秋五覇) 중의 하나인 진(晉)나라가 한(韓), 위(魏), 조(趙)의 3나라로 쪼개진 BC 403년부터를 전국시대라고 부른다. 그리고 두 시대를 합하여 흔히 춘추전국시대라고 부르며, 이러한 상태는 BC 221년 진(秦)이 전국을 통일함으로써 막을 내린다.

  춘추전국시대에는 공자와 맹자로 대변되는 유가(儒家)를 비롯하여, 도가, 법가, 음양가, 묵가, 종횡가 등 각종 사상이 만개하여 제자백가(諸子百家)라고 불릴 정도였다. 저 마다 입이 달렸으면 나름대로의 사상을 펼쳤다고나 할까. 전국시대에 활약하였던 사람들의 모습을 기술한 책들 중에 유명한 것이 유향(劉向)이 쓴 전국책(全國策)이다.

  전국책은 우리나라에도 일찍부터 여러 사람에 의하여 소개되었다. 그 중 비교적 최근의 것으로 조성기가 쓰고 동아일보사가 출판한  “새롭게 읽는 전국책”(총 2권)이 있다. 책 한 권의 두께가 800 여 쪽이나 되는 방대한 것이지만, 한 번 손에 잡으면 놓기 어려울 정도로 흥미진진하다.

  이 책의 1권에 노자의 제자였던 양주(楊朱)라는 사람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그는 한 마디로 “노세 노세 젊어서 노세”의 신봉자였다. 그답게 여성편력이 화려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그런데 그에 관한 부분을 읽다 보면 눈이 갑자기 확 뜨이는 장면이 나온다. 거두절미하고 그 부분(299-300쪽)을 인용해 보면,

“백 년이란 사람 목숨의 최대 한계이므로 백 년을 사는 사람은 천에 하나 꼴도 안 된다. 설사 백 년을 살다 한들....잠자는 시간, 헛생각을 하는 시간, 아프고 병들고 슬퍼하고 괴로워하고 근심하고 두려워하는 시간들을 제하고 나면 정작 아무 걱정 없이 즐겁게 자득(自得)한 시간은 조금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사는 동안 무엇을 중점적으로 해야 하느냐. 기회만 있으면 즐겨야 하지 않겠는가. 무엇을 즐길 것인가. 맛있는 음식과 좋은 옷, 음악과 여자를 즐겨야 한다....죽은 뒤의 명예 같은 것이야 구더기에게나 주어라.”

  이 부분을 읽다 보면 마치 판소리 단가인 '사철가'를 듣는 기분이다. 설마하니 그 옛날 양주(楊朱)가 사철가를 부르지는 않았을텐데...

판소리 단가인 사철가는 1950-60년대에 우리나라 판소리계를 주름잡았던 명창 동초 김연수선생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중국의 양주(楊朱)가 우리나라의 김연수 선생으로 환생하기라도 했단 말인가? 그보다는 아마도 사람의 생각이란 게 예나 지금이나 다 비슷한 때문이 아닐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