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근과 끈기(태백산2)

2010.02.16 11:30

범의거사 조회 수:11173



     은근과 끈기  


   흰눈으로 치장한 太白山,
   한 마디로 장관이었다.

   異狀暖冬으로 冬來不思冬을 노래하던 때인 1999. 1. 7.  절기로는 小寒 다음날인 이 날 새벽 5시20분. 유일사 입구 해발 950미터 지점에 있는 민박집을 나서는데 왜 그리도 추운지.
   그 동안 어디에 숨어 있다가 하필이면 새 해 들어 첫 산행을 하는 날, 내 지도반(28기 7반 A조)의 사법연수생들과 마지막 고별등산을 하는 바로 그 날, 제 모습을 보란 듯 드러낸 추위가 얄밉기만 하였다.  
   그래서일까, '왜 사서 이 고생을 하나?' 하는 생각이 머릿속을 맴돌았다. 그나마 길을 비춰주는 반달과 그 옆의 북두칠성의 아름다운 자태가 서울의 혼탁한 공기에 찌든 일행에게 커다란 위안이었다.  

   히말라야 원정대를 방불케 하는 옷차림들에는 얼핏 비장함마저 서렸지만, 내일 모레면 사회에 첫발을 내디딜 연수생들의 얼굴은 여전히 천진난만하기만 하였다.  

   "오늘 넘어야 하는 이 高山峻嶺만큼이나 여러분들의 앞길에도 험한 세상이 기다리고 있다."

는 말을 하려다 그냥 삼켜버렸다. 이미 以心傳心으로 알고 있을 테니까.

   2시간 여의 산행 끝에 천제단 밑 朱木群落地에 도착하였다. 때맞추어 저 멀리 동쪽 하늘이 붉게 물들기 시작하였다.
   雪花가 만발한 朱木들, 그 뒤 雲海 위로 떠오르는 태양, 달력이나 연하장에서 흔히 보는 바로 그 광경이 연출되는 순간이었다. 예술사진을 찍는 사람들이 우리 일행보다 먼저 와 진을 치고 있는 이유를 알 만했다.
   그 때의 감동을 글로 다 표현하지 못하는 것이 못내 아쉽다. '보지 않고는 결코 느낄 수 없다'는 말로나 대신할까.  

   체감온도가 영하 20도를 넘는 강추위도, 사람을 날릴 듯 세차게 몰아치는 북서풍도, 한 발 또 한 발 내딛는 凡夫들의 발걸음을 멈추게는 못하였다.
   누가 오라는 것도, 꼭 가야 하는 것도 아닌데, 성지순례에 나선 구도자들처럼 묵묵히 산을 오르는 연수생들의 은근과 끈기에서 법조계의 밝은 앞날을 기대하였다면 지나칠까?
   지난 여름 치를 떨고 악을 쓰며 치악산을 오를 때 "다시는 교수님이랑 산에 안 갈래요." 하던 연수생들이다.  

   장군단과 천제단(해발 1,566미터)에는 추위를 아랑곳하지 않고 기도에 몰입하여 있는 사람들이 여전하였다. 무심코 기도를 방해하였다가 큰 홍역을 치른 3년 전의 악몽이 생각나, 그들의 심사를 건드리지 않으려고 무척이나 조심했다. 그 흔한 '야호' 소리 한 번 지르지 않았다.
   대신 그저 무사히 산행을 마칠 수 있게 해 달라고 단군할아버지께 빌고 또 빌었다. 금년 중에 아이를 가질 예정인 연수생들에게는 옥동자를 점지해달라고 빌게 하였다. 비록 강요된(?) 기도였지만 기도 순간만큼은 표정들이 진지했다. 분명 효험이 있으리라.

   문수봉(해발 1,517m)에 도착하여 최성환 연수생이 애써 준비해 온 따끈한 라면으로 배를 채우니 추위가 한결 가셨다. 배부르고 등 따뜻하면 천하가 다 내 세상이라던가, 30년 가까이 곱게 간직하였던 생살(?)을 하필이면 嚴冬雪寒에 첫 등장시킨 權某 연수생을 제외하고는 하산할 생각들을 안 한다.  

   천연의 엉덩이썰매를 이용하니 내리뫼길은 금방이었다. 엉덩이는 학교 다닐 때 매 맞는 데나 사용하는 줄 았았는데, 의외로 쓸모가 많다는 것을 새삼 알게 되었다. 경험은 쌓고 볼 일이다.  
   기념으로 연수생들과 함께 길가의 눈 속에 엉덩이도장을 찍어 놓았는데(크기로는 조병구 연수생의 것이 압권이었고, 예쁘기로는 林某 연수생의 것이 제일이었다), 아직도 남아 있을지 모르겠다.  

   산에는 오르막과 내리막이 있고, 사람 사이에는 만남과 헤어짐이 필연이다. 2년 동안 정말 깊은 정이 들었던 28기 7반 A조 연수생들의 앞날이 창창하길 빈다.
   去者必返이런가, 언젠가는 성장한 모습으로 다시 만나겠지...(1999.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