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만큼 보이지 않아도 좋으니
2025.01.26 00:05
을사년(乙巳年) 설 명절의 긴 연휴가 시작되는 날이다.
소·대한(小·大寒)이 다 지나고 입춘(立春)이 열흘도 안 남아서인지 겨울치고는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정작 설날이 되면 최저기온 영하 10도 안팎의 추위가 찾아올 것이라고 기상청에서 예보를 하고 있지만, 그런다고 다가오는 봄을 어찌 막으랴.
꺼지기 직전의 장작불이 잠깐 반짝 타오르는 것과 진배없지 않을까 싶다.
설 명절의 연휴가 공식적으로 6일(1월 31일 하루 휴가를 내면 무려 9일)이나 되다 보니 인천공항의 출국장이 북새통이라고 한다.
원활한 출국을 위해서는 적어도 비행기 출발 시각의 4시간 전까지는 공항에 도착해야 한다고 하니 놀랄 일이다. 시국이 하 수선하니 한국 대탈출(Exodus)이라도 하려는 건가.
정부가 1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정한 것은 내수 진작을 위한 것이라는데,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려나.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엉뚱한 사람이 버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어제(1/24)는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덕수궁 석조전)에서 전시하고 있는 수묵별미(水墨別美) 한·중 근현대회화전을 잠깐 둘러본 후,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공여하고 있는 ‘마당놀이 모듬전’을 관람하였는데, 전시장소나 공연장소가 비록 실내이기는 해도 워낙 공간이 넓어 웬만하면 추위를 느낄 법 하였지만, 바깥 기온이 영상(零上)이다 보니 두꺼운 외투가 오히려 거추장스럽게 느껴질 정도였다.
한·중 근현대회화전은 한국의 국립현대미술관과 중국의 국립미술관인 중국미술관이 공동으로 주최한 것으로, 두 나라의 근현대 수묵채색화 걸작들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다.
기존의 서구 중심적 시각에서 벗어나 동아시아의 자주적인 관점으로 미술사를 조망해 보려는 전시 의도에 걸맞게, 인물화, 산수화, 화조화 등 전통적인 장르부터 현대의 구상, 추상 작품까지 아우르고 있다.
[김기창 : 군마도]
[천룽 + 저우뤄란 : 회오리바람]
그러나 아쉽게도 이름을 전혀 들어보지 못한 중국 화가들은 물론이고, 수많은 한국 화가들도 몇몇 귀에 익은 대가들 외에는 대부분 생소하여 수박 겉 핡기의 관람에 그치고 말았다.
결국 그림에 조예가 깊지 못한 문외한인 촌부로서는 ‘동아시아의 수묵채색화가 어떻게 전통을 계승하고 현대적으로 발전해왔는지 보여 주겠다’는 기획자의 거창한 의도에 선뜻 다가가지 못하였다.
그에 비하여 국립극장의 마당놀이 모듬전은 친숙했다.
마당놀이의 원조(요새 흔히 하는 표현으로 ‘전설’) 윤문식, 김성녀, 김종엽을 비롯하여, 신구(新舊) 창극배우들이 춘향전, 심청전, 흥보전을 한데 엮어(그래서 ‘모듬전’이다) 시원한 풍자와 익살스런 해학으로 관객을 웃기고 울렸다.
출연자들이 주고받고 노래하는 대사들이 귀에 익숙하기에 깊이 빠져들었고, 3시간 가까운 공연시간이 지루한 줄 몰랐다.
촌부가 판소리를 배운 지 얼마 안 되었을 때 심청가 창극에 출연했다가(곽씨부인 상여꾼, 남경장사 선원, 충청도 봉사 역) 눈물 콧물 다 흘렸던 기억이 새롭다.
[마당놀이 모듬전]
[충청도 봉사]
둘 다 같은 날 보고 들은 것인데, 회화전과 마당놀이가 촌부에게 이처럼 다르게 다가오는 것을 보면, 세상만사는 역시 아는 만큼 보이고 들리는가 보다.
지난해 12월 3일의 느닷없는 비상계엄 선포가 유발한 혼란 속에서 헌법, 탄핵, 위헌, 개헌, 내란죄, 공수처, 헌법재판소 등의 용어가 갑남을녀(甲男乙女)의 입에 무시로 회자(膾炙)된다. 그것은 더 이상 법조인들만의 전문용어가 아니게 되었다.
‘법 없이 살 수 있는 사람’, 그래서 ‘법을 모르고 사는 사람’이라는 말이 보여주듯, 도리에 어긋나지 않는 삶을 살아 법과는 무관하게 지내는 게 본래 사람이 참되게 지향하는 모습 아닐까.
그래서 법은 아는 만큼 보이지 않아도 좋으련만, 이제는 어쩌다 아는 만큼 보이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온 국민이 헌법 박사가 될 판이니 이를 어찌할 거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내란죄 수사를 둘러싸고 첫 단추가 이상하게 꼬여 경찰, 검찰, 공수처의 권한을 둘러싼 논란이 끊이질 않고, 급기야 공수처로부터 사건을 송부받은 검찰이 신청한 대통령에 대한 구속기간 연장 청구가 법원에서 거푸 기각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제발 법은 아는 만큼 보이지 않아도 좋으니, 온 국민에게 법률 공부를 시킬 생각 말고 관계 기관들이 제대로 정도를 걸어 백척간두의 혼란한 시국을 속히 정리해 주길 소망하여 본다.
답답한 마음을 아름다운 여인의 고운 눈썹 같은 갑진년(甲辰年) 마지막 그믐달 월광보살님에게 전하면서 하소연해볼거나.
“부디 이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케 하여 주시옵소서~”
댓글 8
-
김텃골
2025.01.26 08:17
-
우민거사
2025.01.26 10:06
미얀마를 외교부에서 여행자제구역으로 지정했다고 하는데 괜찮은가 보네요.
그래도 조심하세요.
수처작주이니 가시는 곳에서 주인이 되시고 여그는 당분간 잊으세요^^
-
인선
2025.01.26 10:46
'모듬전'이라는 이름이 정겹습니다. 전국민 법조교육은 이제 그만 받아도 될 것 같습니다 ㅜ
-
우민거사
2025.01.26 11:06
설날의 소망 : 전국민 상대 법률교육 끝!!!!^^
-
변진장
2025.01.26 11:10
나트랑에서 하루 지나서 듣는 나라소식은 아득하기만 합니다.
그래도 내 나라 라고 술에 쩔어 이그러져 보이는 달님께 빌어 봅니다.
"부디 이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케 하여 주시옵소서~" -
우민거사
2025.01.26 12:57
이왕 따뜻한 휴양지에 가신 마당이니 다 잊고 편히 쉬다 오십시오~^^
-
Marioson
2025.01.26 11:16
존경하는 민일영대법관님^^
법 공부 잘 하고 있습니다.
하늘의 지혜 하늘의 평화 내리소서 !!
대한민국과 온누리에
Ten. Mario Son 드림 -
우민거사
2025.01.26 12:59
법조인이 아닌 일반 국민은 더이상 법률 공부 하지 않아도 되는 세상을 꿈꿉니다.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 아는 만큼 보이지 않아도 좋으니 [8] | 우민거사 | 2025.01.26 | 163 |
353 | 팥죽 먹기 캠페인이라도 벌여야 하나 [4] | 우민거사 | 2024.12.21 | 181 |
352 | 솔 위에 내린 눈이 [8] | 우민거사 | 2024.11.30 | 204 |
351 | 너는 무엇을 버릴테냐[상강(霜降의 단상] [2] | 우민거사 | 2024.10.26 | 123 |
350 | 오백 년을 살고 있다 [6] | 우민거사 | 2024.10.18 | 216 |
349 | 벽촌에 밤이 깊어 말없이 앉았으니--‘하석(夏夕)'의 단상 [8] | 우민거사 | 2024.09.17 | 201 |
348 | 한여름 밤의 꿈 [4] | 우민거사 | 2024.08.27 | 85 |
347 | 곧 가을이 오리라 [6] | 우민거사 | 2024.08.25 | 275 |
346 | 법무부 정책위원회(퍼온 글) | 우민거사 | 2024.07.30 | 37 |
345 | 이숙연 대법관 후보자 주식 기부(퍼온 글) | 우민거사 | 2024.07.28 | 59 |
호기심 반. 걱정 반으로 들어 온 미얀마.
불이 환하게 켜진 쉐단곤 파고다는
아름답고 성스럽던 옛날의 모습 그대로고 ,
젊은이들이 바글바글한 밤거리 역시
예나 지금이나 같아 보이네여.
그런데 환율의 하락으로 호텔값은 예전의 반값이라
호텔비 부담이 없는 반면
시장의 공산품 가격은 한국보다 비싸네요.
게엄이 무산 된 한국 인천공항은 미어 터지는
개항이래 최고의 대목이라는데
시골 골목 상권은 설날 대목은 커녕 파리 날린다는
마님의 푸념이 들려오는 한국 소식.
정치는 어느 편인지?
임시 공휴일은 어느 편인지, 헷갈리네여.
월광 보살은 어느 편인지여?